부여 주암리 은행나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는 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에 위치한 은행나무로, 높이 23m, 둘레 9m이며 1982년 천연기념물 제320호로 지정되었다. 약 1,500년 수령으로 추정되며, 백제 성왕 때 심어졌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마을 주민들은 이 나무를 신성하게 여겨 매년 제의를 지내며,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지닌 자연유산으로 보존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청남도의 천연기념물 -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 숲
충청남도 서천군 마량리에 위치한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 숲은 천연기념물 제169호로 지정된 동백나무 군락지로, 다양한 상록활엽수와 함께 자생하며 따뜻한 기후대의 식생을 보여주는 중요한 생태적 가치를 지니고 식물지리학적으로도 의미가 크다. - 충청남도의 천연기념물 - 금산 보석사 은행나무
금산 보석사 은행나무는 천년 이상 된 거대한 은행나무로, 보석사 창건 설화와 함께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신성한 존재로 여겨져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 유명한 은행나무 - 영월 하송리 은행나무
영월 하송리 은행나무는 1962년 천연기념물 제76호로 지정되었으며,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하송리에 위치하고 영월군에서 관리한다. - 유명한 은행나무 - 원주 반계리 은행나무
원주 반계리 은행나무는 수령 약 800년의 거대한 은행나무로, 아름다운 형태와 양호한 보존 상태로 생물학적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으며 마을 사람들에게 풍요와 안녕을 가져다주는 신성한 존재로 숭배받고 있다. - 부여군의 문화유산 - 부여 나성
부여 나성은 백제 사비 도성을 방어하기 위해 538년경에 축조된, 둘레 8km의 흙으로 쌓은 성으로, 금강과 자연 지형을 활용한 이중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현재는 일부 흔적만 남아있다. - 부여군의 문화유산 - 부여 관북리 유적
부여 관북리 유적은 백제 왕궁지로 추정되는 유적으로, 1982년부터 발굴 조사가 진행되어 방형석축연지, 토기, 도로 및 배수시설 등이 발견되었으며, 2015년 백제역사유적지구의 일부로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재되었다.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 | |
---|---|
기본 정보 | |
이름 |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 |
학명 | Ginkgo biloba |
지정 번호 | 320 |
지정일 | 1982년 11월 4일 |
소재지 | 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 주암리 148-1 외 4필 |
![]() |
2. 한국의 천연기념물 은행나무
한국에는 오랜 세월 동안 자리를 지켜온 은행나무들이 많으며, 이들 중 일부는 그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는 천연기념물 제320호로 지정되었다.
호수 | 품목 | 지정(등록)일 | 소재지 | 소유자(소유단체) | 관리자(관리단체) |
---|---|---|---|---|---|
320 |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 | 1982.11.09 | 충남 부여군 내산면 주암리 148-1번지 4필 | 부여군 외 | 부여군 |
2. 1. 천연기념물 은행나무 목록
호수 | 품목 | 지정(등록)일 | 소재지 | 소유자(소유단체) | 관리자(관리단체) |
---|---|---|---|---|---|
30 | 양평 용문사 은행나무 | 1962.12.07 | 경기 양평군 용문면 신점리 626-1번지 | 대한불교조계종 용문사 | 양평군 |
59 | 서울 문묘 은행나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31 (명륜3가, 유림회관) | 문화재청 | 서울특별시 | |
64 | 울주 구량리 은행나무 | 울산 울주군 두서면 구량리 860번지 | 울주군 외 | 울주군 | |
76 | 영월 하송리 은행나무 | 강원 영월군 영월읍 하송리 190-4번지 | 영월군 | 영월군 | |
84 | 금산 요광리 은행나무 | 충남 금산군 추부면 요광리 329-8번지 | 건설부 외 | 금산군 | |
165 | 괴산 읍내리 은행나무 | 1964.01.31 | 충북 괴산군 청안면 청안읍내로3길 8, (청안초등학교 내) (읍내리) | 충청북도교육감 | 괴산군 |
166 | 강릉 장덕리 은행나무 | 강원 강릉시 주문진읍 장덕리 643번지 | 강릉시 외 | 강릉시 | |
167 | 원주 반계리 은행나무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문막읍 반계리 1495-1번지 | 원주시 | 원주시 | |
175 | 안동 용계리 은행나무 | 1966.01.13 | 경북 안동시 길안면 용계리 744외 8필 | 국토교통부 | 안동시 |
223 | 영동 영국사 은행나무 | 1970.04.27 | 충북 영동군 양산면 누교리 1395-14번지 | 국토교통부 외 | 영동군 |
225 | 구미 농소리 은행나무 | 1970.06.03 | 경북 구미시 옥성면 이곡1길 10 (농소리) | 건설부 외 | 구미시 |
300 | 금릉 조룡리 은행나무 | 1982.11.09 | 경북 김천시 대덕면 조룡리 51외 2필 | 김녕김씨충의공파김천금릉종중 외 | 김천시 |
301 |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 | 경북 청도군 이서면 대전리 638외 2필 | 농림수산부 외 | 청도군 | |
302 | 의령 세간리 은행나무 | 경남 의령군 유곡면 세간리 808외 3필 | 의령군 외 | 의령군 | |
303 | 화순 야사리 은행나무 | 전남 화순군 이서면 야사리 182-1번지 4필 | 건설부 외 | 화순군 | |
304 | 강화 볼음도 은행나무 | 인천 강화군 서도면 볼음도리 산186번지 외 1필 | 강화군 | 강화군 | |
320 |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 | 충남 부여군 내산면 주암리 148-1번지 4필 | 부여군 외 | 부여군 | |
365 | 금산 보석사 은행나무 | 1990.08.02 | 충남 금산군 남이면 석동리 709번지 | 대한불교조계종 보석사 | 금산군 |
385 | 강진 성동리 은행나무 | 1997.12.30 | 전남 강진군 병영면 성동리 70번지 | 건설교통부 외 | 강진군 |
402 | 청도 적천사 은행나무 | 1998.12.23 | 경북 청도군 청도읍 월곡안길 28-293 (원리) | 적천사 외 | 청도군 |
406 | 함양 운곡리 은행나무 | 1999.04.06 | 경남 함양군 서하면 운곡리 779번지 | 함양군 외 | 함양군 |
482 | 담양 봉안리 은행나무 | 2007.08.09 | 전남 담양군 무정면 봉안리 술지마을 1043-3번지 | 건설부 외 | 담양군 |
551 | 당진 면천 은행나무 | 2016.09.06 | 충청남도 당진시 동문1길 3 (면천면) | 충청남도교육청 외 | 당진시 |
562 | 인천 장수동 은행나무 | 2021.02.08 | 인천 남동구 장수동 63-6번지 | 충청남도교육청 외 | 남동구청 |
높이 23m, 둘레 9m의 이 은행나무는 1982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됐다. 전설에는 538년(성왕16년) 사비성 천도를 전후해 좌평 맹씨(孟氏)가 심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수령은 약 1,500년 정도로 추정된다.[1] 마을 주민들은 전염병이 돌 때마다 마을이 화를 면했기 때문에 은행나무를 신성한 나무로 여겼다고 한다.[2]
3.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
백제, 신라, 고려가 망할 때마다 칡넝쿨이 이 나무를 감아 올라가 그 징후를 알렸다고 한다. 고려 시대에는 숭각사 주지가 은행나무 가지를 암자의 대들보로 사용하려고 베어 가려다 그 자리에서 죽었고 사찰도 폐허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3] 또한 목신(木神)으로부터 조선의 건국 이야기를 엿들은 과객이 공을 얻고자 이성계를 찾아갔다가 오히려 의심을 사 목숨을 잃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일제 강점기에는 한 일본인이 나무를 베려다 주민들의 강력한 반발로 실패했다 하며, 해방될 무렵에는 남향의 큰 나뭇가지가 통째로 부러져 영감(靈感)을 보여줬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4]
3. 1. 역사와 전설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는 1982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1] 전설에 따르면 538년(성왕 16년) 사비성 천도를 전후해 좌평 맹씨(孟氏)가 심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수령은 약 1,500년 정도로 추정된다.[1] 마을 주민들은 전염병이 돌 때마다 마을이 화를 면했기 때문에 은행나무를 신성한 나무로 여겼다고 한다.[2]
백제, 신라, 고려가 망할 때마다 칡넝쿨이 이 나무를 감아 올라가 그 징후를 알렸다고 한다. 고려 시대에는 숭각사 주지가 은행나무 가지를 암자의 대들보로 사용하려고 베어 가려다 그 자리에서 죽었고 사찰도 폐허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3] 또한 목신(木神)으로부터 조선의 건국 이야기를 엿들은 과객이 공을 얻고자 이성계를 찾아갔다가 오히려 의심을 사 목숨을 잃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일제 강점기에는 한 일본인이 나무를 베려다 주민들의 강력한 반발로 실패했다 하며, 해방될 무렵에는 남향의 큰 나뭇가지가 통째로 부러져 영감(靈感)을 보여줬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4]
3. 2. 제의
녹간마을 주민들은 매년 정월 초 은행나무 앞에서 제의를 올리며 한 해의 풍년과 제액초복을 기원한다.[4] 마을 산의 형세가 사슴의 머리와 닮았고, 바위 샘터는 사슴이 놀다가는 신성한 곳이라 여겨져, 주민들은 이 은행나무를 중심으로 형성된 마을을 녹간(麓澗)마을이라 부른다.[4] 제사용 술 대신 나무 옆 샘물을 받아 올린다.[4] 제의가 끝날 무렵 제관은 대동 소지에 불을 당기며 “참석하신 여러분의 운수대통을 올린다”고 고한 후 하늘을 향해 주민들의 소망을 띄워 보낸다.[4] 제의를 마치면 모두가 한데 모여 샘물로 지은 메를 김에 싸서 음복한다.[4] 이처럼 은행나무에는 주민들의 자연관, 역사관, 신앙관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4]
3. 3. 보존 노력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천연기념물 제320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이러한 자연유산은 지속적인 관리와 관심이 필요하며, 특히 진보 진영에서는 자연유산 보존을 위한 정책적 지원과 시민들의 참여를 강조하고 있다.
4. 맺음말
참조
[1]
웹인용
""행단제·장군제를 아시나요" 부여군 신년 세시풍속 행사 '눈길'
https://www.yna.co.k[...]
[2]
웹인용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扶餘 珠岩里 銀杏─)
http://encykorea.aks[...]
[3]
웹인용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 (扶餘 珠岩里 은행나무)
http://www.k-heritag[...]
[4]
웹인용
문화재의 뒤안길(82)-부여 주암리 은행나무 (서울경제, '21. 3.15.)
https://www.cha.go.k[...]
2021-03-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